라벨이 오피스텔양도세인 게시물 표시

양도소득세 실수사례 - 국세청이 알려주는 함정 피하기! (3탄)

  세금이란 게 원래 어려운데, 특히 부동산 양도소득세는 생각보다 더 복잡한 함정이 많다. 이번에도 국세청이 공개한 양도소득세 실수 사례(3탄) 를 살펴보며, 어떤 점을 조심해야 할지 꼼꼼하게 분석해 보겠다. 잘못 신고하면 수천만 원에서 억 단위까지 세금 폭탄이 날아올 수 있으니, 미리 체크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7. 2년 이상 보유했는데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못 받은 사례 실수사례 E씨는 2015년에 주택을 매입했고, 2024년에 10억 원에 양도 했다. 본인은 9년 동안 보유했으니 당연히 **장기보유특별공제(최대 30%)**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신고 후 공제 적용이 거부되면서, 추가 세금 8,000만 원이 부과되었다. 문제는 ‘거주 요건’이었다! 장기보유특별공제는 무조건 받을 수 있는 게 아니다. 이 공제는 단순히 보유 기간만 충족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거주 요건도 함께 충족해야 한다. E씨는 집을 장기간 보유했지만, 실제로 거주한 기록이 없었기 때문에 공제를 받을 수 없었다. ✔ 장기보유특별공제 조건 (2024년 기준) 2년 이상 보유 필수 거주 요건 충족 여부에 따라 공제율이 달라짐 3년 이상 거주: 최대 40% 공제 2년 이하 거주: 공제 불가 즉, E씨는 보유는 오래 했지만 거주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제를 받을 수 없었다. 실수 피하는 법!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으려면, 보유 기간뿐만 아니라 거주 요건도 함께 충족해야 한다. 실제 거주를 하지 않는다면 공제 혜택을 기대하지 말아야 한다. 양도 직전 2년이라도 거주 요건을 채울 수 있다면, 거주를 하여 공제율을 높이는 전략도 고려 가능! 8. 오피스텔을 주택으로 알고 양도세 비과세 신청했다가 세금 폭탄 맞은 사례 실수사례 F씨는 2020년에 오피스텔을 취득해 2024년에 매도했다. F씨는 오피스텔도 주택으로 간주될 것이라 생각하고 1세대 1주택 비과세를 신청했지만, 세무서에서 이를 거부했다. 결국 양도세 2억 원을 추가로 납부해야 했다. 오피스텔은 주택이 아니다? 오피스텔은 일반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