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부동산세금인 게시물 표시

양도소득세 실수사례 - 국세청이 알려주는 함정 피하기! (4탄 - 마지막 편)

  부동산 거래는 큰돈이 오가는 만큼 세금도 만만치 않다. 특히 양도소득세는 작은 실수 하나로 세금이 수천만 원에서 억 단위까지 늘어날 수 있다. 이번 마지막 편에서는 국세청이 공개한 ‘양도소득세 실수 사례’ 중에서도 가장 놓치기 쉬운 것들 을 정리해 보겠다. 지금까지 시리즈를 읽어왔다면, 이 사례들도 반드시 확인하고 피해 가야 한다. 10. 조정대상지역 내 분양권을 매도했는데, 세금이 예상보다 2배로 나온 사례 실수사례 H씨는 2020년에 조정대상지역에서 분양권을 취득 했다. 그런데 2023년, 분양권을 프리미엄이 붙은 7억 원에 매도 했는데, 양도세가 예상보다 2배 가까이 나왔다. 이유는 분양권은 주택과 다르게 별도의 세율이 적용되기 때문! 조정대상지역 내 분양권은 세율이 다르다! 조정대상지역 내에서 분양권을 매도하면, 기본적인 양도세율이 일반 주택보다 훨씬 높다. 특히 2021년 6월 이후부터는 보유 기간에 상관없이 무조건 70%의 중과세율이 적용 된다. ✔ 분양권 양도세율 (2024년 기준) 조정대상지역 내 분양권 양도세: 무조건 70% 비조정대상지역 내 분양권 양도세: 기본 세율(6~45%) 적용 즉, H씨는 분양권을 보유한 지 2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정대상지역 내에서 매도했기 때문에 70% 세율이 적용되었다. 결국 양도차익이 높아질수록 세금 부담도 훨씬 커졌다. 실수 피하는 법! 조정대상지역에서 분양권을 양도할 경우, 세율이 70% 적용된다는 점을 미리 확인할 것! 일반 주택과 달리 분양권은 보유 기간과 무관하게 무조건 중과세가 적용될 수 있다. 양도 계획이 있다면 세율을 고려해 비조정대상지역 분양권도 검토할 것! 11. 재개발·재건축 입주권을 주택과 별개로 생각했다가 다주택자로 과세된 사례 실수사례 I씨는 2019년 기존 주택을 보유한 상태에서 재개발 조합원으로 입주권을 취득 했다. 이후 2023년에 기존 주택을 매도하면서 1세대 1주택 비과세를 신청했지만, 세무서에서 거부당했다. 결국 다주택자로 간주되어 양도세 2억 원을 추가로...

양도소득세 실수사례 - 국세청이 알려주는 함정 피하기! (3탄)

  세금이란 게 원래 어려운데, 특히 부동산 양도소득세는 생각보다 더 복잡한 함정이 많다. 이번에도 국세청이 공개한 양도소득세 실수 사례(3탄) 를 살펴보며, 어떤 점을 조심해야 할지 꼼꼼하게 분석해 보겠다. 잘못 신고하면 수천만 원에서 억 단위까지 세금 폭탄이 날아올 수 있으니, 미리 체크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7. 2년 이상 보유했는데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못 받은 사례 실수사례 E씨는 2015년에 주택을 매입했고, 2024년에 10억 원에 양도 했다. 본인은 9년 동안 보유했으니 당연히 **장기보유특별공제(최대 30%)**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신고 후 공제 적용이 거부되면서, 추가 세금 8,000만 원이 부과되었다. 문제는 ‘거주 요건’이었다! 장기보유특별공제는 무조건 받을 수 있는 게 아니다. 이 공제는 단순히 보유 기간만 충족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거주 요건도 함께 충족해야 한다. E씨는 집을 장기간 보유했지만, 실제로 거주한 기록이 없었기 때문에 공제를 받을 수 없었다. ✔ 장기보유특별공제 조건 (2024년 기준) 2년 이상 보유 필수 거주 요건 충족 여부에 따라 공제율이 달라짐 3년 이상 거주: 최대 40% 공제 2년 이하 거주: 공제 불가 즉, E씨는 보유는 오래 했지만 거주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제를 받을 수 없었다. 실수 피하는 법!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으려면, 보유 기간뿐만 아니라 거주 요건도 함께 충족해야 한다. 실제 거주를 하지 않는다면 공제 혜택을 기대하지 말아야 한다. 양도 직전 2년이라도 거주 요건을 채울 수 있다면, 거주를 하여 공제율을 높이는 전략도 고려 가능! 8. 오피스텔을 주택으로 알고 양도세 비과세 신청했다가 세금 폭탄 맞은 사례 실수사례 F씨는 2020년에 오피스텔을 취득해 2024년에 매도했다. F씨는 오피스텔도 주택으로 간주될 것이라 생각하고 1세대 1주택 비과세를 신청했지만, 세무서에서 이를 거부했다. 결국 양도세 2억 원을 추가로 납부해야 했다. 오피스텔은 주택이 아니다? 오피스텔은 일반적으로...

양도소득세 실수사례 - 국세청이 알려주는 함정 피하기! (2탄)

 세금 문제를 다루다 보면 "이건 너무 억울한데?" 싶은 사례들이 꽤 많다. 특히, 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신고했다가 뒤늦게 수천만 원에서 억 단위의 세금을 내게 되는 경우 가 허다하다. 오늘은 **국세청이 직접 공개한 양도소득세 실수 사례(2탄)**를 살펴보며, 어떻게 하면 이런 낭패를 피할 수 있을지 알아보겠다. 4.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을 충족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세금 폭탄 맞은 사례 실수사례 B씨는 10년 전부터 거주하던 **A주택(양도가액 12억 원)**을 팔면서 1세대 1주택 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있을 거라 확신했다. 문제는, 몇 년 전 부친으로부터 B주택을 상속받은 사실이 있었다는 것. B씨는 상속주택을 포함해도 비과세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양도세 1억 원을 납부해야 했다. 문제는 '거주 요건'이었다!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려면, 단순히 1주택만 보유한다고 끝나는 게 아니다. 거주 요건까지 충족해야 비과세를 받을 수 있다. B씨의 경우, 기존 주택에서 2년 이상 실제 거주하지 않은 상태에서 양도 했기 때문에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었다. ✔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2024년 기준) 양도 당시 1주택이어야 한다. 최소 2년 이상 실제 거주한 기록이 있어야 한다. 거주 요건이 필요한 주택인지 확인해야 한다. (분양권, 상속주택 등 특수 사례 주의!) 실수 피하는 법! 주택을 양도하기 전, 내가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는지 정확하게 확인할 것! 거주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세금이 부과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할 것! 상속주택이 있는 경우, 단순히 1주택 유지 여부만 따지는 것이 아니라 거주 요건까지 따져야 함! 5. 1주택 비과세를 받을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오히려 다주택자로 과세된 사례 실수사례 C씨는 2020년에 15억짜리 아파트를 매도 했다. 본인은 1세대 1주택자로 비과세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신고 후 추가 세금 3억 원을 내라는 통보를 받았...

양도소득세 실수사례 - 국세청이 알려주는 함정 피하기! (1탄)

 세금이라는 게 참 어렵다.  특히 부동산 관련 세금은 규정이 많고 복잡해서 한 줄 잘못 읽으면 돈이 훅 빠져나간다.  이번에는 국세청이 직접 공개한 ‘양도소득세 실수사례’를 하나씩 짚어보며, 어떻게 하면 피할 수 있을지 살펴보겠다. (이건 단순한 실수라고 하기엔 너무 비싼 실수들이다…) 1. 상속으로 2주택이 된 경우 - 비과세 받을 수 있을까? 실수사례 A씨는 원래 8억짜리 주택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후 2020년 6월에 부친이 사망하면서 상속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형도 있었고, 형이 한 채를 가져가면서 A씨는 상속을 통해 C주택을 가지게 됐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2024년 8월, 기존에 보유하던 A주택(11억)을 양도했다. 여기서 A씨는 1세대 1주택 비과세 를 기대했지만, 예상과 달리 세금 폭탄을 맞게 되었다. 왜 비과세를 받지 못했을까? 양도소득세법에서는 상속으로 인해 2주택이 된 경우에도 특례를 적용해 1주택으로 간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때 중요한 포인트가 있다. 선순위 상속주택이 무엇인지 체크해야 한다! ✔ 선순위 상속주택을 판단하는 기준 피상속인이 가장 오래 보유한 주택 보유 기간이 동일하다면, 거주한 기간이 긴 주택 거주 기간까지 같다면, 상속 개시 당시 피상속인이 실제 거주한 주택 이것도 동일하다면, 기준시가가 가장 높은 주택 A씨는 선순위 상속주택이 아닌 C주택을 상속받았기 때문에, 1세대 1주택 비과세 특례를 받을 수 없었다. 즉, 상속받은 주택이라 해서 무조건 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있는 게 아니다. 실수 피하는 법! 상속주택이 2개 이상이라면, 반드시 선순위 상속주택을 체크할 것! 부모님이 보유한 주택이 여러 채라면 미리 전략적으로 상속계획을 세울 것! 2. 농지를 상속받았는데, 감면을 못 받았다고? 실수사례 김국세씨(누가 봐도 세금과 연관이 있는 이름…)는 부친이 8년 이상 직접 경작하던 농지를 상속받았다. 보통 8년 이상 자경한 농지는 양도세 감면 대상 이 된다. 하지만 김국세씨는 이 혜택을 받지 못했...